Dev/Web
prototype을 이용한 Ajax 멀티 request
prototype을 이용해 비동기 방식의 요청을 여러건 해서 순서 상관없이 응답을 받아 처리하는 부분을 구현해 봤다. 원래 목적은 fund 정보를 웹에서 관리하기 위해 만들려 한것인데... 미완성 프로젝트다.. 엑셀에선 간단하던 수식들을 웹으로 옮기려니 만만치 않더라 ㅡㅡ; 소스에는 포함된 내용들은 아래와 같다. - Prototype Javascript Lib 사용 - Javascript Calendar Javascript Lib 사용(한국어 처리 부분 소스 약간 수정) - 멀티 Ajax 요청 처리 - 요청 처리중일때 모래 시계 보여주기 - Msg 출력을 동적으로 - select Object에 요청 받은 내용 동적으로 append common.js // 결과를 보여줄 영역을 동적 생성 function g..
다음 자동 로그인 주소 변경..
다음 자동 로그인 주소가 바뀌었다. 기존 자동 로그인 주소를 입력하면, 아이디, 비번 뿐 아니라.. 그림 문자까지 넣으란다 ㅡㅡ; 바뀐 다음 자동 로그인 주소는 아래와 같다. https://logins.daum.net/Mail-bin/login.cgi?id=아이디&pw=비번&enpw=비번 참고로 몇가지더.. 네이버 자동 로그인 주소 https://nid.naver.com/nidlogin.login?id=네이버 아이디&password=비밀번호&url=http://naver.com 투데이즈피피시 이너서클 자동 로그인 주소 http://www.todaysppc.com/mbzine/bbs/login_check.php?s_url=/index.php&user_id=아이디&password=비번&group_no=1
한글변환기
영어 상태로 입력된 문장을 한글로 변환 해주는 Javascript 함수를 만들어 봤다. 나중에 지를(ㅡㅡ;) 아이팟 터치에서 한글 입력 기능이 없단다. 떠도는 얘기를 들어보니 별도 SDK가 없이 javascript로 개발을 한다고 해서 자료를 찾아보지도 않고 무작정 코딩부터 했다. 흐흐.. 테스트는 http://newtype.myi.cc/tools/hangle.html http://panghosting.net/~newtype/tools/hangle.html http://host.newtype.pe.kr/tools/hangle.html 여기서 해보면 된다. 테스트는 IE6, IE7, FF2 에서 해보았다. 스크립트 용량을 줄여보겠다고 바둥바둥했는데.. 그래도 2KB (1,971 바이트) 란다. 발로 코딩하..
GoogleGear Sample source
얼마전 구글에서 GoogleGear라는 것을 배포 했다. 처음엔 어떤것인지도 몰랐는데.. 최근에 알게된 사실로는 오프라인에서도 웹서핑을 도와준다고 한다. 자세히 내용을 살표보니 SQLite를 이용해 웹에 있는 자료들을 미리 읽어들어 저장해 두고, 오프라인 일 때도 써먹는 다는 내용이였다. 사실, IE의 "오프라인으로 작업"등 비슷한 기능은 이미 있었다. 하지만, 역시 구글이다. 개발자들이 편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GoogleGear API를 열어두었다. 그럼, 코드로 만나보자. 1. GoogleGear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설치가 되어있어야 한다. 처음 발표되었을때, 뭔지도 모르고 미리 설치는 해두었다 ^^; 2. gears_init.js 파일을 html안에 포함 해야한다. gears_init.js ..
간단한 Ajax Sample 코드
먼저 파일 구조를 설명하면.. 전체 파일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 ./index.php : XMLHttpRequest를 이용 정보를 요청 - ./list.php : ./sheet/ 서브 디렉토리에서 skin파일과 db파일을 읽어서 보여줌 - ./sheet/*.html : skin 파일 - ./sheet/*.txt: csv형식의 db파일 중요 부분을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index.php파일을 보면.. if (window.XMLHttpRequest) { HTTPRequestObject = new XMLHttpRequest(); } else if (window.ActiveXObject) { HTTPRequestObject = new ActiveXObject("Microsoft.XMLHTTP"); } 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