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type
::: newtype의 지식창고 :::
newtype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392)
    • Dev (214)
      • C, C++ (43)
      • Go (5)
      • Web (49)
      • DBMS (21)
      • DevOps (8)
      • Java (2)
      • Windows, Win32 (4)
      • Visual Basic (5)
      • C# (2)
      • Mobile (25)
      • SQL CE (7)
      • Google Map (6)
      • Python (2)
      • cygwin (2)
      • 기타 (32)
      • Ruby (1)
    • 명언 (10)
    • 모임 (18)
      • 붕주회 (3)
      • 신흥컴정 (14)
      • 웹20기 (1)
    • 사진 (8)
    • 불펌 (29)
    • 막글 (98)
    • 게임 (6)
    • 여행 (8)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관리

공지사항

  • whoami
05-13 00:00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newtype

::: newtype의 지식창고 :::

Dev/DBMS

이모지(Emoji) 지원을 위한 MariaDB 설정

2023. 7. 28. 16:37

결론 부터 이야기 하면, 서버 설정을 이모지 지원을 위한 4 byte utf8로 설정하면 된다.
( utf8mb4 / utf8mb4_unicode_ci )

  1. 설치
    • docker를 사용해서 간단히 설치 한다.
$ docker pull mariadb:10.6.14

$ docker run --name mariadb-10.6.14 -d -p 3333:3306 --restart=always -e MYSQL_ROOT_PASSWORD='root123' -e TZ=Asia/Seoul mariadb:10.6.14 --character-set-server=utf8mb4 --collation-server=utf8mb4_unicode_ci --lower_case_table_names=1

$ docker exec -ti mariadb-10.6.14 mysql -u root -p'root123'

create database test;  
create user 'tester'@'%' identified by 'tester123';  
grant all privileges on test.* to 'tester'@'%';  
flush privileges;

use test;  
create table test (  
`str` varchar(64) not null,  
`rmk` varchar(128) not null,  
primary key (`str`)  
) ENGINE=InnoDB
  • lower_case_table_names은 테이블 대소문자 구분을 안하기 위한 설정
  1. 테스트
$ mysql --default-character-set=utf8mb4 -h127.0.0.1 -P3333 -utester -p'tester123' test

MariaDB [test]> insert into test values ('𝟓𝟔𝟖 568', '숫자 이모지');  
Query OK, 1 row affected (0.008 sec)

MariaDB [test]> select * from test;  
+-------------------------------------------+----------------+  
| STR                                       | RMK            |  
+-------------------------------------------+----------------+  
| 𝟓𝟔𝟖 568                                  | 숫자 이모지    |  
+-------------------------------------------+----------------+  
1 row in set (0.001 sec)
반응형
저작자표시

'Dev > DB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OCILib를 사용하는 경우 필수 파일  (0) 2016.04.27
오라클 테이블의 레코드 사이즈 계산을 쉽게하자  (0) 2012.08.10
오라클 Plan 정보 보는 방법  (0) 2012.07.16
오라클에서 조회한 결과를 Text 파일로 저장하기  (0) 2010.02.24
오라클에서 다른 계정으로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방법  (0) 2010.02.01
    'Dev/DB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OCILib를 사용하는 경우 필수 파일
    • 오라클 테이블의 레코드 사이즈 계산을 쉽게하자
    • 오라클 Plan 정보 보는 방법
    • 오라클에서 조회한 결과를 Text 파일로 저장하기
    newtype
    newtype
    지극히 개인적인 지식의 창고

    티스토리툴바